기능성 위장 장애의 원인 1 : 횡경막(diaphragm)근육의 이상
기능성 위장 장애와 관련된 근육이 있다 : 횡경막(가로막) 근육
안녕하세요. 건강도슨트입니다.
많은 현대인들이 만성질환인 기능성 위장장애(=기능성 소화불량)를 진단받고 있습니다. 기능성이라는 표현 자체가 질병의
원인을 알 수 없고, 이를 치료할 수 있는 마땅한 약이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른 관점의 시각이 필요합니다. 구조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관련 근육부터 살펴봐야 하며, 우선 가로막 근육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가로막 근육은 호흡의 주요 근육으로, 흉강과 복강을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은 호흡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그 구조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횡경막(가로막,diaphragm)근육의 구조
가로막은 뇌신경과 목뒤신경의 분포를 받는 뼈근으로, 뼈와 연골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주로 제1~3번 허리椎와 제6~12번 갈비뼈의 갈비연골에서 시작하여 중심인대에 닿습니다. 가로막은 비용근과 갈비용근으로 나뉘며, 각각의 역할이 다릅니다. 비용근은 주로 위장관 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갈비용근은 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횡경막(가로막,diaphragm) 근육의 기능
1. 호흡
- 가로막은 주로 호흡에 관여합니다. 호흡 시 가로막이 수축하면 흉강의 크기가 증가하고, 내부 압력이 낮아져 공기가 폐로 유입됩니다. 호흡이 끝나면 가로막이 이완되어 흉강의 크기가 줄어들고 공기가 밖으로 밀려나갑니다.
2. 위장관 기능
- 가로막은 위산 역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비용근은 삼키기, 구토, 위산 역류 방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기타 기능
- 가로막은 구토, 대변 배출, 소변 배출, 출산 시 복부 내압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혈액 공급과 신경 분포
가로막은 하위 흉막동맥과 상위 흉막동맥 등이 혈액을 공급하며, 흉막신경과 하위 갈비신경이 신경을 분포시킵니다.
임상적 중요성
가로막의 기능 장애는 호흡 곤란, 기계적 환기에서 벗어나기 어려움, 병원 체류 기간 연장, 합병증 증가 등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로막의 두께 감소는 질병 초기의 예후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가로막은 호흡과 관련된 주요 근육으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횡경막(가로막) 근육의 이상으로 인한 증상
가로막 이상의 증상
1. 호흡 곤란: 가로막 마비나 약화는 주로 호흡 곤란으로 나타나며, 이는 휴식 중이나 운동 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엑서시널 디스프니아 (운동 시 호흡 곤란)는 흔한 증상입니다.
2. 수면 장애: 가로막 마비는 수면 장애와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수면 중 호흡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3. 저산소증: 가로막 기능 장애는 저산소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피로와 관련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복부 증상: 가로막 문제는 복부 통증, 위산 역류, 소화 불량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위식도 역류질환은 가로막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기타 증상: 가로막 문제는 심장 부정맥, 가슴 통증, 어깨 통증 등 다양한 증상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특정 가로막 이상의 증상
1. 가로막 마비: 주로 호흡 곤란, 수면 장애, 피로, 반복적인 폐렴이 발생합니다.
2. 가로막 파열: 복부 통증, 호흡 곤란,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위식도 역류질환: 소화 불량, 역류, 소화성 궤양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가로막의 기능 이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